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해외직구 원산지 증명서 (FTA 쉽게 정리)

by 블슈입니다 2022. 10. 31.

 

 

원산지 증명서 간단하게 설명!!

 

원산지를 증명하면 FTA 협정에 따라 대부분 관세가 면제되고 부가세만 내시면 됩니다. 원산지 증명서 제출면제 조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한-미 FTA

과세가격 미화 1천달러 이하의 원산지 상품은 원산지 증명서 제출없이 구매영수증, 현품의 원산지 표기(made in USA) 등을 통해 원산지 확인이 가능하면 한-미 FTA협정세율이 적용되어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협정세율은 대부분 0%입니다.

배대지 신청서를 작성 할 때 반드시 ‘원산지 미국, 협정세율 적용 신청’ 이라고 기재 해줍니다. 부가세 10%만 납부하시면 됩니다.

 

해외직구 원산지 증명서 (FTA 쉽게 정리)
해외직구 원산지 증명서 (FTA 쉽게 정리)
해외직구 원산지 증명서 (FTA 쉽게 정리)해외직구 원산지 증명서 (FTA 쉽게 정리)
해외직구 원산지 증명서 (FTA 쉽게 정리)

 

㉡ 한-EU FTA

비상업적 상품으로 과세가격 미화 1천달러 이하에만 원산지 증명서 제출이 면제됩니다. 개인 간에 물품을 비상업적 용도로 보내는 경우만 해당 되므로 해외 쇼핑몰 사이트에서 구매한 경우,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 해야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과 달리 유럽의 경우에는 해외직구시 금액 상관없이 원산지 증명서가 필요합니다. 원산지 증명서는 구매한 사이트에 직접 요청하거나 배대지에 발급비용을 지불하고 발급 받을 수도 있습니다. 





 

 

㉢ 한-중 FTA

 

과세가격 미화 700달러 이하의 원산지 상품은 인보이스에 원산지 표기가 되어 있으면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700달러가 넘는다면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참고: 미국에서 보통 많이 구매하는 가방, 의류, 신발은 관세가 8-13%입니다. 아래 기타 참고 사항에 예상세액 조회방법이 있으니 구매전 미리 조회 해 보시면 편리합니다.

 

 

 

 

과세가격과 관부가세 구하는 공식

물품가격 = 물품대금 + 현지세금 + 현지배송비와 보험료

과세가격 = 물품가격 x 고시환율 + 과세 운임( 과세 운임은 관세청 고시 선편운임 or 특급탁송화물운임 적용)

관세 = 과세가격 x 해당 물품의 관세율(%)

부가세 = (과세가격 +관세) x 10%

 

 

 

 

 

해외직구 관부가세란? 쉽고 간단하게

해외직구란? 직구 간단설명

박싱 데이 (Boxing Day) : 박싱 데이란?

블랙 프라이데이 (Black Friday) : 블프란?

페이팔 변팔 신용카드 등록 및 등록 오류 해결방법

페이팔 설정하기 (잔액 우선 결제)

페이팔 변팔 신용카드 등록 및 등록 오류 해결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