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DSR 간단정리 (+ DSR 계산기 사용법)

by 블슈입니다 2022. 9. 28.

 

 

이번 포스팅은 DSR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SR 간단정리
DSR 간단정리

 

DSR 이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debt service ratio ]

대출자(차입자)의 총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 가계가 연소득 중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신용대출 등)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얼마를 쓰는지 보여준다.
시중은행과 보험회사에서 받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을 비롯해 마이너스통장대출, 자동차 할부, 신용카드 미결제까지 포함한 모든 금융회사 빚을 합해 이를 기준으로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을 산출한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적용해 심사할 때보다 대출 규모가 일반적으로 줄어든다.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ebt service ratio] (한경 경제용어사전)

 

 

 

쉽게 말하자면, DSR이 40%일때 3천만원의 연봉자는 모든 대출에 대한 1년에 상환해야 하는 금액(원리금)이 1200만원을 넘을 수 없습니다. (3,000만원 * 40% =1200만원) 

 

 

DSR 계산기 사용법

네이버 '부동산 계산기' 검색하면 부동산계산기.com 이라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 사이트를 예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셔서 상단 DTI/LTV 클릭 -> DSR 클릭 해 줍니다.

 

 

예를 들어, 연봉 3천만원이고 신용 대출 2천만원이 있는데 주담대를 30년 납으로 1억 2천만원 받고자 할 경우, 아래와 같이 입력해봅니다. 대출이 여러건 인 경우, 추가를 클릭하시면 칸이 추가가 됩니다.

 

DSR 계산기 사용법
DSR 계산기 사용법

 

DSR 계산 결과를 클릭 해 주면 아래와 같이 계산되어 결과가 보여집니다. DSR 40% 아래이네요. 해당 지역 규제에 맞춰서 계산 해 보시면 되는데, DSR 이 초과라면 하는 수 없이 주담대 금액을 줄이거나, 잘 분석하셔서 기존에 있던 대출을 상환하시고 주담대를 늘리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DSR 뿐만 아니라 LTV 등도 고려 하셔야 합니다. 

 

DSR 계산기 사용법
DSR 계산기 사용법

 

DSR 계산기 잘 활용 하셔서 주택 구입시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댓글